목록홈페이지 (4)
개블리셔

제목요소(Headline) 블록요소의 대표격인 헤드라인 요소, 즉 제목 요소는 말 그대로 제목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헤드라인(headline)을 줄여 h로 사용하며 1부터 6까지 사용할 수 있다. (h1 ~ h6) 숫자가 클수록 하위 제목이며, (스타일 없이 작성하였을 때)웹 브라우저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로 크기가 각기 다르다. 이 숫자들은 웹 페이지의 내용 흐름상 중요도를 나타내는데, 대체 텍스트를 위해 항상 순차적으로 노출이 되어야 한다. 한다미로 h1은 일등, h6은 6등이라 생각하면 쉽다 :) 많은 사람들이 같이 코딩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제목요소가 순차적이지 않고 뒤죽박죽 섞여있게 된다면, 어떤 제목이 최우선인지, 어떤 제목이 더 큰 제목인지 코드를 보고 파악할 수가 없다. 유지보수를..

웹 페이지에 실질적으로 보이는 body 내부에 요소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html의 기본적인 규칙으로 블록 요소와 인라인 요소이다. 1. 블록요소 블록요소는 텍스트 줄바꿈, 넓이나 높이를 마음껏 사용자 입맛대로 지정할 수 있는 태그를 말한다. 간단히 말해서 박스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블록요소 형태의 태그입니다. 초기값 넓이는 위와 같이 100%로 가로 전체로 쭉 펴져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종류 address, article, aside, audio, blockquote, canvas, dd, div, dl, fieldset, figcaption, figure, footer, form, h1, h2, h3, h4, h5, h6, header, hgroup, hr, noscript,..

웹표준이란? 이전 포스팅에서 Html5는 웹표준을 정의하고 선도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라고 했는데, 웹표준이란 국제 규격이자 약속이다. Html5 이전에는 약속을 지키지 않는 브라우저들이 오히려 큰소리를 치던 이상한 세상이 있었다! 과도한 플러그인 사용으로 장애인, 노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을 불편하게 하였으며, 특정 브라우저와 사용자의 운영체제에 따라 웹사이트의 접근이 제약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Html5는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주며 모바일에서도 웹 표준을 지원한다. 웹표준이란 국제규격이자 약속이기도 하며,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웹페이지를 동일하게 보여주고 정상적으로 작동해야함을 의미한다고 정의할 수 있을 것 같다. 웹표준의 장점 컨텐츠의 올바른 구..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어떤 것을 배워야할까?" 우리가 외국인들과 대화를 나누기위해 외국어를 공부하듯, 컴퓨터와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언어를 공부해야한다. 그 중에서 가장 기초이자 반드시 필수로 알아야하는 HTML에 대한 포스팅을 시작한다 :)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일단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웹 페이지를 위한, 마크로 둘러싸인 마크업 언어이다. Html은 구조나 의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내용으로 구조적인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Html은 태그로 이루어져 있다. 태그는 언어로 비유하면 문법이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다 :) 태그 (tag) 태그는 기본적으로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로 구성되며, 닫는 태그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예외..